전체 글 (229) 썸네일형 리스트형 객체지향 프로그래밍(5): subClass subClass는 다음 세가지를 활용한다. 1. 함수의 프로토타입 체인 2. extend 함수 3.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생성자 호출(_init) subClass는 상속받을 클래스에 넣을 변수 및 메소드가 담긴 객체를 인자로 받아 부모 함수를 상속받는 자식 클래스를 만든다. 여기서 부모 함수는 subClass() 함수를 호출할 때 this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들면... var SuperClass = subClass(obj); var SubClass = SuperClass.subClass(obj); 이처럼 SuperClass를 상속받는 subClass를 만들고자 할 때, SuperClass.subClass() 의 형식으로 호출하게 구현한다. 참고로 최상위 클래스인 SuperClass는 자바스크립트의 Fu.. 객체지향 프로그래밍(4): 캡슐화 var Person = function(arg) { var name = arg ? arg : 'devjones'; this.getName = function() { return name; } this.setName = function(arg) { name = arg; } }; var me = new Person(); console.log(me.getName()); me.setName('grindman'); console.log(me.getName()); console.log(me.name); // undefined var ArrCreate = function(arg) { var arr = [1,2,3]; return { getArr: function() { return arr; } } }; var obj.. 객체지향 프로그래밍(3) : 클래스기반 상속 function Person(arg) { this.name = arg; } Person.prototype.setName = function(value) { this.name = value; } Person.prototype.getName= function() { return this.name; } function Student(arg) {} var you = new Person('dev-jones'); Student.prototype = you; var me = new Student('grindman'); me.setName('grindman'); console.log(me.getName()); me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부모 클래스인 Person의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는다. var me = new St.. 이전 1 ··· 6 7 8 9 10 11 12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