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29)
Holder 패턴 FactoryMethod 패턴을 먼저 이야기 해보겠다. FactoryMethod 패턴은 객체의 생성을 책임지는 패턴이다. 특히 상위 타입을 가지고 있는 여러 하위 객체들 중에서 외부에서 입력한 조건에 맞게 생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생성된 객체를 전달해 줄 때는 상위 타입으로 캐스팅해서 리턴한다. 따라서 FactoryMethod 패턴을 구현한 클래스 외부에서는 객체의 구체적인 타입을 알 수 없다. 이것은 구체적인 타입에 의존하면서 발생하는 강한 결합과 코드의 중복 등 객체지향에서 지양하는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해 준다. Holder 패턴은 FactoryMethod 패턴과 유사점이 많다. 우선 객체의 생성을 담당한다. Holder 패턴을 구현한 클래스는 클래스 내부에서 각 하위 객체를 ..
@PostConstruct @PostConstruct - 객체의 초기화 부분 - 객체가 생성된 후 별도의 초기화 작업을 위해 실행하는 메소드를 선언한다. -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을 설정해놓은 init 메소드는 WAS가 띄워질 때 실행된다. @PreDestroy - 마지막 소멸 단계 -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빈)을 제거하기 전에 해야할 작업이 있다면 메소드 위에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 close() 하기 직전에 실행 -> ( (AbstractApplicationContext)context ).close() 출처: goddaehee.tistory.com/46
bitset BitSet은 Bit들로 이루어진 vector로, boolean 배열처럼 이용할 수 있다. boolean 배열에 비해 갖는 이점은 boolean 값은 1byte를 잡아먹지만 bit는 말그대로 1bit이다. 한 값당 7bit씩 아낄 수 있다. 자주 이용되는 메소드들을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Set & Get package bitset; import java.util.BitSe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itSet b = new BitSet(); b.set(10); b.set(100); System.out.println(b.get(10)); System.out.println(b.get(100)); System.out.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