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Servlet("/ch08/exampleServlet01")
public class ExampleServlet01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
* Default constructor.
*/
public ExampleServlet01() {
}
/**
* @see HttpServlet#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브라우저로 응답 할 때의 타입과 캐릭터 셋 설정합니다.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브라우저에 출력하기 위한 스트림입니다.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 html 시작
out.println("<html>");
out.println("<body");
out.println("<h1>이클립스로 서블릿 만들기");
out.println("</body>");
out.println("</html");
// html 끝
}
}
요따위로 작성되는 서블릿 소스. extends HttpServlet이 보이는데 그 친구의 구조를 살펴볼자.
Servlet(인터페이스) - GenericServlet(추상클래스) - HttpServlet
요따위로 생겼다. 하나하나 살펴보자.
메소드요약
init 메소드부터 살펴보자.
service
destroy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ss HttpServlet (0) | 2020.10.19 |
---|---|
Class GenericServlet (0) | 2020.10.19 |
책 리뷰 : 생활코딩 자바 (0) | 2020.10.14 |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0) | 2020.10.14 |
클래스와 다형성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