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아래 표 하나만 정리가 끝나긴 한다.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 |
같은 패키지 같은 클래스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같은 패키지 상속 관계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불가 |
같은 패키지 상속 관계 아님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불가 |
다른 패키지 상속 관계 |
접근가능 | 접근가능 | 접근불가 | 접근불가 |
다른 패키지 상속 관계 아님 |
접근가능 | 접근불가 | 접근불가 | 접근불가 |
자세한 설명을 위한 코드는 책을 통해..
테이블출처: 생활코딩